작년에 대학생때부터 다니고 싶었던 데이터 분석 관련 대학원을 지원했습니다.
대학원 진학의 목표는 이직이나 자기계발은 아니었어요. 오랜만에 코딩을 즐기기 위해 지원했습니다(회사 복지제도 활용). 재밌게 다니다보니 어느새 2학기가 지났네요.
대학원 준비하면서 알게 된 것과 다니면서 느낀 것들을 기록하려고 합니다.
대학원별 자세한 분석은 구글링하면 많아서, 개인적으로 느낀 점들 위주로 정리해보려고 해요. 다른 대학원에 대한 정보는 성균관대, 고려대, 연세대에 다니고 계신 지인분들을 통해 얻은 정보들입니다.
- 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제가 현재 다니고 있는 학과라서 조금 좋게 포장 될 수도 있어요 ㅎㅎ; 일단 이 학과를 선택한 이유는 금, 토에 수업이 있고, 제가 다니는 회사에서 가깝습니다. 제가 지원했을 때는 줌으로 면접을 봐서 혼자 면접을 봤는데 지금은 대면으로 3명씩 들어가서 면접을 보는 것 같아요. 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기초적인 ML 내용을 물어보셨습니다. 머신러닝 관련 이론 책 한 권 읽어가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줌으로 5분 만에 면접이 끝나서 질문이 많지는 않았습니다.
다른 블로그에서는 성대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가 특수대학원이 아니라 일반대학원인 점을 좋은 점으로 얘기하더라구요. 사실 저번 학기 이전까지만해도 체감되는 장점은 아니었습니다. 이번 학기에 그 장점을 처음으로 느꼈는데요. 바로 일반대학원 전일제 학과의 수업을 신청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전공으로 인정되는 타 학과 수업이 많지는 않았어요. 하지만 전일제 학과의 수업을 수강했을때 정말 만족스러웠습니다.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의 수업은 아무래도 직장인이 많다보니 실습 과제가 많지 않고, 문과 비율이 높아서 코딩 실습이 적었습니다. 반면에, 전일제 학과 수업은 조금 더 어려운 코딩과 함께 실습 과제가 많아서 힘들면서도 동시에 배울 점이 많아서 재밌었습니다.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는 매년 60명 정도 뽑아요. www.gradmap.co.kr에서 학과별 입학정원을 연별로 확인했을때 아래와 같았습니다.

지원자가 얼마나 되는지 skb.skku.edu(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페이지)의 공지사항에서 "면접"으로 검색하면 면접자 명단이 있는 공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측이지만 지원서만으로 떨어뜨리는 인원은 없는 것 같아요. 경쟁률도 계산이 가능한데요. 2022년 정원 60명, 2022년 전기 면접자 230명, 후기 면접자 158명으로 388/60 = 6.4667이므로 2022년 기준 대략 6.4667대 1정도의 경쟁률입니다.
- 고려대 빅데이터융합학과
평일에 2~3일 가야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회사에서도 가까워서 지원 후보 중 하나였습니다. 커리큘럼도 괜찮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지원하지 않은 이유를 꼽자면 직장다니면서 평일 3일 출석이 조금 어려울 것 같았어요. 주변 지원한 사람한테 듣기로는 면접질문들이 꽤나 어려웠다고 합니다. 제가 듣기에도 최소한 선형대수, 머신러닝에 대한 기초지식들이 있어야 대답이 가능할 것 같았습니다.
고려대 빅데이터융합학과도 경쟁률 계산이 가능한데요. gradmap.co.kr에서 입학정원을 확인했습니다.
지원자가 얼마나 되는지 gscit.korea.ac.kr(고려대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페이지)의 공지사항에서 "구술시험"으로 검색하면 구술면접 명단을 확인할 수 있어요. 지원서만으로 떨어뜨리는 인원이 없다는 가정하에 경쟁률을 계산해보았습니다. 2022년 정원 48명, 2022년 전기 면접자 164명, 2022년 후기 면접자 138명으로 302/48 = 6.2917이므로 2022년 기준 6.2917대 1정도의 경쟁률입니다.
- 연세대 빅데이터 계약학과 석사과정
금,토 수업으로 알고 있어요. 특이한 점은 연간 3학기로 2년 동안 총 6학기를 들어야한다는 점과 전체 교육비 중 최소 50% 이상을 소속 산업체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정원은 석사 60명, 박사 20명이다. 여긴 경쟁률 계산을 위한 면접 명단을 구하지 못했습니다.

주변에 다니고 계신 분한테 듣기로는 수강신청을 하는 방식이 아니라 정해진 커리큘럼이 있다고 해요. 듣고 싶은 수업만 선택해서 듣고 싶은 사람은 다른 학과를 알아봐야할 것 같습니다.
이 정도가 제가 알고있는 전부인 것 같아요. 현재 다니고 있는 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에 대해서는 추후에 추가할 내용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대학원 준비할 때에 구체적인 입학정원 숫자, 면접자 숫자, 경쟁률을 알려줬던 블로그가 없어서 이번에 경쟁률까지 계산해서 구해보았다. 아마 위에 적어놓은 주소를 따라가면 2020년, 2021년 경쟁률도 직접 계산할 수도 있을 겁니다. 빅데이터 대학원을 준비하는 다음 지원자에게 조금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